무엇을 할 것이라는 내용의 글은 의미가 없다. 무엇을 해냈다는 내용의 글 또한 별로 의미가 없다. 그 행동 자체로서의 의미가 얼마나 없었으면 글이라는 형태를 빌어 또 한번 출판되어야 했을까.
나는 지금 집 근처 할리스에 앉아있다. 맞은편 테이블에 혼자 이어폰을 끼고 공부를 하고 있는 아가씨가 있다. 한동안 읽던 책을 덮더니 연습장 하나를 꺼냈다. 그리고 글을 써내려가기 시작했다. 글을 쓰는 중간중간 창밖을 3~5초정도 멍하니 응시한다. 마치 바깥 풍경을 스케치하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잦은 빈도로 말이다. 그 아가씨의 노트는 어느덧 30줄이 넘어간다. 연필을 사용하고 있나보다 중간중간 지우개를 쓰는 모습이 보인다.
저 사람이 무슨 글을 왜 그렇게 열심히 쓰고 있는지는 관심이 없다. 그저 나도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중간중간 아무 이유없이 창밖을 응시하면서. 그렇지만 지우개는 안쓸거다. 컴퓨터로 글을 쓰고 있거든.
Comments
3 thoughts shared
@dolpang2, 나쁘지 않은 용도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 그런 용도로 글을 썼을 때의 문제점이라면 분명히 기록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수가 반복될때가 많더라고요. 기록을 안했다면 핑계라도 댈 수 있을텐데 말입니다 --;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나르시즘의 끝은 어디인가 - 김광진의 '편지' 보컬 포함
Quercus 삽질 후 디프레스된 기분을 풀어보고자 싸이질도 좀 해주고 초코머핀을 우걱우걱 먹어보았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몸은 피곤하고, MEConsole 빌드는 여전히 안되고 Hollys 프로젝트는 이런저런
당뇨 전단계 혈당 관리 실험 기록
당뇨가 없지만 피검사의 혈당값이 마음에 안 들어 최근 열심히 관리했다. 공복혈당이 당뇨 전단계인 100이다. 15년 전 건강검진 기록을 봐도 공복혈당이 101이다. 더 안 올라간 건 좋은데 아예 변화가 없으니까
Alacritty 쓰기 시작
FAQ에 macOS + tmux + vim 환경에서 퍼포먼스 이슈 있다길래 걱정했지만 그래도 Terminal.app보다는 훨씬 빠르다. 빠릿하고 쾌적하다. 단, 아직 CJK 문자 처리가 깔끔하지 않으며, 폰트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