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부터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팀을 옮겼습니다. 인프라팀에서 웹서비스 팀으로요!
울 아들 봄공책 군에게 MSN, 네이트온, Google Talk 인터페이스를 열심히 붙여주고 유지보수를 한 뒤, 이번주부터는 OpenID 확산을 위해 J2EE 환경에서 OpenID Consumer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길면 길고 짧다면 짧은 노트를 만들었습니다.
J2EE 환경에서 OpenID 지원 사이트 구축해보기 <- 링크에요 -_-;
나름 간만의 블로그 포스팅인데 내용이 너무 짧으면 미투데이스러워질까봐 링크 클릭하기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가이드라인 도입 부분 스크린샷을 올립니다.
[
](http://rath.springnote.com/pages/213977.xhtml)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가이드라인 문서로 연결됩니다.
자! OpenID 지원 사이트 많이 만들어주세요! 스프링노트, 미투데이, Lifepod 같은 멋지고 훌륭한 서비스를 만들어주세요!
만드신 후, OpenAPI를 열어주시는 것 잊지마시구요. 그래야 매쉬업이 많이 나옵니다 /--/
- 이 가이드라인은 곧 OpenID 포럼에 안착할 것입니다. 지금 forum.OpenID.or.kr 이 원활하지 않은데, 피드백이나 문제점들은 일단 이 포스트의 댓글로 달아주세요. 나중에 OpenID 포럼에 포스트 할 때 댓글내용까지 정리해서 한꺼번에 올리겠습니다.
Comments
3 thoughts shared
뀁쁑이
안녕하세요.
openid consumer 를 혼자 실습해 보다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를 드립니다.
(이상하게 trackback이 안되네요;
사용자의 추가 정보를 받아오기 위해서 rath님의 글을 보고
sreq.addAttribute("fullname", true); AuthRequest authReq = manager.authenticate(discovered, returnToUrl, trustRoot); authReq.addExtension(sreq);
를 추가 했더니 verification = manager.verify(receiveURL, paramList, di); 에서 verification에 null이 들어가버립니다.
그래서 더이상 진행되지가 않는데요. 추가 정보 받아오는것에대한 설명 좀 부탁드려요;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초자아
문득 나의 한없는 방황이 나의 초자아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근 30년(계란 한 판을 채우려면 아직 노른자 한방울이 남았다) 간의 내 사고/행동 패턴으로 봤을 때 이 패턴을 끊임없이 훈련하고 강화하여 완성체를
공부 전략 몇가지
학습한 기술을 계속 사용하기만 하는 것은 마치 우리가 꾸준한 운동을 하는 것처럼, 그저 훈련이다. 학습이 아니다. 반면 새로운 기술서를 읽고 이해하고 깨달음을 얻은 것은 그저 지적 유희를 즐겼을 뿐이지 공부한
이상하고 현실적인 처세
회사 생활 및 사회생활을 한지 어느덧 7년차가 되버렸다. 그러다보니 MBTI 의 16개 분류보다는 좀 더 범위가 좁고 특별한 집단 내에서 사람을 분류하는 방법을 터득해 나가게 되었다. IT회사를 상대하면서 느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