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내내 일에만 파묻혀 살다가 오랜만에 개인 프로젝트를 했다. 맥에서 쓸 GUI 만들려니 역시 Swing만큼 익숙한 게 없어서 오억 년 만에 자바를 쓰는데, J2SE에 있는 클래스나 메서드는 다 기억나서 편했지만 Java라는 언어 자체를 도저히 못 참겠어서 Kotlin으로 작업했다. 레이아웃 매니저는 MigLayout을 썼고, 맥 앱 패키징은 JDK 15에 번들된 jpackage를 썼는데 훌륭했다.
UI 디자인을 직접 할 일이 가끔 있어서 학습을 위해 잘 정리된 앱 UI를 틈날 때마다 봐서 감각을 올리곤 한다. 그러기 위해 ui8.net 같은 곳에서 제공하는 UI Kit들을 레퍼런스로 쓰는데, PSD로 열면 메모리 19G 먹으며 별나라로 가버리기 때문에 파이썬 psd-tools를 써서 그룹 레이어별로 정리하는 스크립트를 만들었다. psd-tools는 성능이 느린 것을 빼고 생각보다 아주 잘 동작했다. 하지만 Text 요소들의 폰트 정보들을 제대로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Sketch 소스는 zip을 풀고 나면 다 JSON으로 보관되어 있어 편해 보였지만, 정말 모든 게 다 JSON으로 있어서 렌더러를 만들 엄두가 안 나서 제외했다.
Adobe XD는 스케치처럼 zip에 JSON 형식인데 폴더나 JSON 구조가 훨씬 더 깔끔했다. 하지만 역시 렌더러 만들기는 엄두가 안 나서 좋은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Adobe XD 플러그인을 살펴봤다. SDK가 JavaScript고 생각보다 API 설계가 잘 되어 있어서 XD 플러그인 만들기로 방향을 바꿨다. XD 플러그인 SDK의 핵심은 require('scenegraph')인데 문서가 있긴 했지만 코딩 중에 문서 왔다 갔다 하는 건 못 참아서.. 원본 코드를 찾아보려고 Adobe XD 바이너리를 뒤져봤는데 결론은 JS 인터페이스로 노출했을 뿐이고 139MB짜리 바이너리 속에 꼭꼭 숨어있었다. 깔끔히 포기하고 문서 보고 플러그인 만들기로 했다.
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마주하는 문제다. 적당한 선에서 끊을 수가 없다. 인위적으로 자원을 제한하지 않으면 결국 이 프로젝트도 영영 끝나지 않을 것이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실용연애전서
2003년에 출간된 이 책. 읽어본 사람이 있는지 모르겠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같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마음에 들어할 지도 모르겠다. 왜 인용을 하는가에서 언급했듯이 '나 이 책 읽고 있어요.' 혹은 '나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Hermann Ebbinghaus 의 망각곡선 1달, 아니 1주일 뒤부터 암기한 내용의 80%를 잊어버리게 된다. 암기한 내용에 대한 Context가 여러개 있다면 그 내용을 뽑아낼 수 있는 인덱스가 많아진다.
Python 3.14 개발자 친화적 업데이트들
Python 3.14 바뀐 점 재미있게 설명한 영상. 개발자 경험 향상에 집중한 것 같다. 특히 beta-1부터 들어온 알록달록 컬러 지원 대만족. 영상은 3.14.0b1 기준이고, 2025년 5월 30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