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6 Mustang에서 Splash 화면!
요새는 JRE가 무진장 빨라져서 큰 이펙트는 없겠지만, jdk 1.6인 mustang에 splash-screen 기능이 들어갔다. 확 JMSN에 Splash screen만 넣어서 릴리즈 해버릴까보다 -\_-; 이 글은 Sun 아티클 기반으로 작성된 것이며, 원문은
81 posts tagged with "java"
요새는 JRE가 무진장 빨라져서 큰 이펙트는 없겠지만, jdk 1.6인 mustang에 splash-screen 기능이 들어갔다. 확 JMSN에 Splash screen만 넣어서 릴리즈 해버릴까보다 -\_-; 이 글은 Sun 아티클 기반으로 작성된 것이며, 원문은
사실 나온지 5일도 지났지만, Update 4 출시당시 블로그를 썼었다는 올가미에 빠져들어 블로그를 쓴다. Java 5 Update 5 가 나왔다. 서버 관리자들은 그다지 교체할 이유가 없을 수도 있겠다. VM 픽스는 GC시 쓰레기 수집시간을 줄였다는 것과,
JSR-45 Debugging Other Languages 를 보고 똑딱똑딱 구현해보는중이다. 목적은 SMAP 파일 디코드하기 -ㅅ- JSP 디버깅을 위한 stacktrace에 난 이렇게 보고 싶지 이렇게 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_- 얼마나 귀찮은지 아는가
JDK 1.5.0\_04 Update가 나온지 2-3일쯤 된것 같다. http://java.sun.com/j2se/1.5.0/ReleaseNotes.html 픽스된 버그수는 80개 정도이다.
그저 릴리즈 했다. 지난번 msnmlib 패치후, 많은 사람들이 JMSN 로그인이 제대로 안된다고 했는데, msnmlib은 패치한 것을 사용하고, jmsn은 sourceforge cvs 것을 사용해야되는 것이였다. 본인은 언제나 그렇게 사용하고 있었기때문에,
삽질에 뻘짓을 거듭하여 msnmlib-java 와 거의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nateonlib-java 를 완성했다. 봇용 아이디도 하나 만들어놓고, 날씨랑 이것저것 넣어서 테스트 해보는데 잘 된다 -ㅅ- 현재 nateonlib 으로는 UI를 가지는
jdk 1.5.0\_03 이 나왔네. 버그픽스가 꽤 있다. 보러가기 비교적 치명적인 것들도 많네.. 얼른 다 갈아엎어야지 -\_-;; Problem with embedded Internet Explorer using Sun Java 이 버그 찾아낸 사람 신기하다
JDK 1.5 한글화 한 이후 J2EE 도 해볼까..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memo에 요청도 들어왔고 어차피 j2ee는 파일 다 합쳐봐야 600개도 안되니 1시간만 노력하면 되겠다는 생각해 한글화 했습니다. 한글화 한 방법은 예전과 동일하고 \[ezTrans],
여러가지 일이 겹쳤다는 핑계를 둘러댄다 할지라도, 아무튼 -- V-Share 및 역어셈블에 대한 진도가 정말 조금씩밖에 못나가고 있고, V-Share의 SGM.dll 은 이번달 안에는 힘들다고 확신을 하게 될 지경이 되었습니다 -\_- 그래서 화풀이로.. 다른
매우 빠른 IBM의 Java compiler가 어느덧 1.22 릴리즈가 되었다. (이 사실을 portage에서 확인;) jikes 1.22의 configure --help를 보니 --enable-source15가 있었다. 그래서 --enable-source15를 켜고
http://freemind.sourceforge.net/wiki/index.php/Main\_Page 존경하는 awkn 어르신께서 소개해주신 Java 기반의 마인드맵 프로그램이다. 프로젝트 관리하는데도 괜찮은것 같고, 단지 www 북마크로 써도
요즘 하는 알바중에 nio 쓰는 일이 있습니다. 금년 여름에도 nio기반의 p2p 파일공유 프레임워크쪽 알바를 했었기에 이번에도 거침없이 뛰어들었습니다. 그렇게 뛰어들은지 어느덧 2주가 되어갑니다. Selector에 등록한 SelectableChannel을 상속받은
Java Wear 에서 구입한 물건이 드디어 도착했습니다 +\_+ 옷 3벌과 머그컵 3개를 샀습니다. 일단 머그컵 사진 -ㅅ- 자바 머그컵~ 아래것은 검은 색 버젼~ 자바 머그컵 블랙~ 폴로 셔츠와 테크노셔츠 그리고~ 조끼! 는.. 모델이 나올까봐 --;
JMSN은 MSNP9 이하 버젼의 파일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Direct 모드로 파일을 주고 받으며, 이는 결국 파일을 보내는 사람이 NAT에 있거나 방화벽등으로 public ip를 가지지 못한다면 파일을 보낼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파일을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언제부터 이렇게 된건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되더라. 위처럼 ftp도 되고, ftp, jar, http, https 다 되더라. jar일 경우는 spec이 어떻게 지원되는지는 모르겠지만, 뒤에 !가 붙고 그 안에서 protocol을 또 넣을 수
문득 쓸만한 Java bytecode Obfuscaor 찾고 싶었다. 99~00년도에 사용하던 SourceGuard는 이제 더이상 4thpass 제품도 아니고, SourceGuard는 GUI 기반이라 영 번거롭고 '느리다'. 간만에 이것저것 살펴보다가
오늘은 Sun Tech Days가 열리는 날입니다! JCO 멤버들에게 주어지는 무료쿠폰으로 7일(목), 8일(금)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첫날 기조연설을 하는 Sun Microsystems의 James Gosling을 볼 수 있다니 정말 기대가 됩니다. 게다가
J2SE 5 RC 가 나온지 얼마 안되었던것 같은데, 어느덧 java.sun.com 에 가보니 J2SE 5 라고만 적혀 있었습니다. 그래서 xrath.com 서버의 JVM도 Java 5 로 바꿨습니다 -ㅅ- 머.. 별 무리없이 돌아가는듯 하네요. Graham
JMSN의 공식 홈페이지는 http://sourceforge.net/projects/jmsn 입니다. sourceforge에서의 최신 릴리즈는 0.9.8b7 이지만, 비공식 적으로 jmsn 0.9.9b2 버젼을 배포합니다. 이곳을 클릭해보십시오. JMSN
SW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JMSN 버젼을 개발중입니다. 초기 버젼이라 기능도 매우 미약한데다가 Win32 용으로만 패키징 된 상태입니다. 이곳에서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저 압축을 풀고 jmsn-swt.jar 파일을 클릭하거나 java -j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