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실체 즉 타고난 잠재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우리 내부의 게임 이너게임
선물받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바빠서 읽기를 미루고 있다가, 측근들의 추천으로 이리저리 읽어보았습니다. 중간중간 눈에 들어오는 부분만 읽었지만 내용도 괜찮고 블로그에 정리하다보면 좀 더 읽게 될까봐 글 작성을 시도합니다.
-
자신을 발전시키려는 노력, 또는 자신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오히려 목표 달성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그 책의 메시지는 그때까지 접해본 적 없는 충격적이고 신선한 내용이었다.
-
"적들을 발견했다. 그들은 바로 우리들이다!"
-
"누가 나를 비난하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압력을 만들어내는 기분입니다. 기대만큼 플레이를 하지 못하면 자신을 비난합니다. 그러면 자신감이 더욱 떨어집니다."
-
"시합 중에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말을 걸고 있어서 슛에 집중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것저것 생각하지 않고 게임에 완전히 몰입했을 때의 행복감을 다시 맛보고 싶습니다."
-
'좋든 나쁘든 상관없어. 이게 내 방법이야. 고치고 싶기는 하지만 당신이 지적하는 것은 참을 수 없어. 그것은 곧 내가 틀렸다는 의미니까. 그런 말 따위 듣고 싶지 않아. 그러나 당신은 내 코치니까 적어도 당신이 하라는 대로 하는 척은 해야겠지. 하지만 교묘하게 저항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두라고!' 우리 대부분은 부모, 교사, 상사 등으로부터 잔소리를 들으면 마치 자신의 정체성이 공격당하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
내적 환경은 함께 일하는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에 크게 좌우된다. 동료와의 인간관계, 동료와 주고 받는 대화의 질은 우리의 사고와 감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아직 정독을 마치지 않고 좋은 책의 내용을 옮기려는 게 좋지 않다고 생각하여, 이정도에서 줄입니다. 이너게임이 다루고 있는 소재는 읽어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큰 임팩트를 주리라 확신합니다.
최근에 읽었던 '상처받기 쉬운 당신을 위한 따뜻한 카운슬링' 도 비슷한 부류였는데, 자신이 느끼고 있는 어떤 문제점을 잘 묘사해주기만 해도 반 이상은 해결되는 그런 기분을 느끼게 해줍니다. 꼭 해결책이 필요한건 아니잖아요. 해결책이란것도 그 사람의 상황과 성격, 성향에 따라 수만가지가 될텐데 책에서 '엄하게'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보다 고민을 공유해주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기분이 좋지 않아 친구와 대화를 하는데, 자꾸 친구가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할 때 느껴지는 극심한 짜증은 느끼지 못합니다. ㅎㅎ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ActionScript 3 삼매경
처음에 Flash 란 녀석을 접했을 때는 '디자이너만 쓰는 건가보다' 였다. 그때가 99년 00년 시절이던가. 사내 디자이너 누님들이 쓰는 것을 보고 마냥 신기해하기만 했다. 그러다가 다시 흥미를 가지게 된 것은
Autofocus Time Management System
GTD와 쌍벽을 이루는 DIT의 Mark Forster가 새로운 시간관리 시스템을 내놓았습니다. 블로그에 Auto Focus 글을 쓰고 바로 lifehacker에 소개되서 그날 UV가 5,322명을 찍었다고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의 이상심리학 시리즈를 다시 살펴보다가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다시 읽어보았다. 처음 학지사의 이상심리학 시리즈를 읽고 있을 때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별로 공감되는 내용이 없었는데.. 다시 읽어보니 얼씨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