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rtTrue()의 Turn off your step-thru debugger를 보다가 어딘가 옮겨놓고 싶어서, 옮겨봅니다.
상황
나는 디버거 없이는 살 수 없는 초보 프로그래머. 내가 짠 코드에서 버그가 생겼다. 사수한테 도움을 요청했다. 상황을 설명하고, 해볼 수 있는 거는 다 해봤다고 말했다. 그러자..
대화
사수: 나는 디버거로부터 떨어져있으려고 노력하지. 디버거는 목발이야. 그거 없이도 너는 잘 걸을 수 있지. 만약 니가 디버거 쓰는 습관을 들인다면, 너는 게을러질꺼야. 네 머리속 어떤 부분은 활동을 멈출테지. 디버거가 네가 만든 버그를 찾아줄꺼라고 생각할테니까. 하지만 현실에선 말이야, 니가 버그를 만들었다면, 니가 찾아야만 한단다.
초보 프로그래머: 정말 그지같은 버그가 생겼을 땐 어떻게 하시는데요?
사수: 버그가 어디있는지. 장비가 내게 말하도록 하지.
그렇게...
그 프로그래머는 디버거 쓰기를 그만두고, 프로그래밍 스킬이 빠르게 발전했다는 아름다운 이야기.
여기서 나온 디버거는 step-thru 디버거를 말함.
Comments
6 thoughts shared
xhoto
좋은데 ㅋㅋㅋ 아 자야되는데 잠 안온다 -_- 언제 얼굴 한번 봐야될터인데...
디버거랑 결별하려면 코드를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겠죠. 사실 디버깅에 익숙해지면 논리적으로 짜기 전에 '디버거 있으니까 이리해보고 안되면 저리해보지 뭐...' 라고 생각해버릴때가 많은 것 같아요. 그걸 이겨내야겠죠.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아참... 마지막 사수의 말의 의미를 잘 모르겠는데... crash report 의 의미인가요? logging 의 의미인가요? 아니면 둘 다이거나 둘 다 아닌가요?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자기혐오'란 키워드로 검색하던 중
'자기혐오'란 키워드로 구글링 하다가 공감되는 문구들을 찾아버렸다. \========================================= 우리는 상대를 완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랑에 빠진다. 그런데
압박감에서 벗어나 집중력을 유지하기
내가 집중을 잘하려면 무엇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완전히 사라져야 한다. 그래서 이런 프로세스가 생겼다. 타인 S가 나에게 T를 해달라고 한다. 처음에는 해주고 싶다. 운 좋게 바로 시작하면 금방 끝난다. 하지만
Java NIO 삽질록
요즘 하는 알바중에 nio 쓰는 일이 있습니다. 금년 여름에도 nio기반의 p2p 파일공유 프레임워크쪽 알바를 했었기에 이번에도 거침없이 뛰어들었습니다. 그렇게 뛰어들은지 어느덧 2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