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rtTrue()의 Turn off your step-thru debugger를 보다가 어딘가 옮겨놓고 싶어서, 옮겨봅니다.
상황
나는 디버거 없이는 살 수 없는 초보 프로그래머. 내가 짠 코드에서 버그가 생겼다. 사수한테 도움을 요청했다. 상황을 설명하고, 해볼 수 있는 거는 다 해봤다고 말했다. 그러자..
대화
사수: 나는 디버거로부터 떨어져있으려고 노력하지. 디버거는 목발이야. 그거 없이도 너는 잘 걸을 수 있지. 만약 니가 디버거 쓰는 습관을 들인다면, 너는 게을러질꺼야. 네 머리속 어떤 부분은 활동을 멈출테지. 디버거가 네가 만든 버그를 찾아줄꺼라고 생각할테니까. 하지만 현실에선 말이야, 니가 버그를 만들었다면, 니가 찾아야만 한단다.
초보 프로그래머: 정말 그지같은 버그가 생겼을 땐 어떻게 하시는데요?
사수: 버그가 어디있는지. 장비가 내게 말하도록 하지.
그렇게...
그 프로그래머는 디버거 쓰기를 그만두고, 프로그래밍 스킬이 빠르게 발전했다는 아름다운 이야기.
여기서 나온 디버거는 step-thru 디버거를 말함.
Comments
6 thoughts shared
xhoto
좋은데 ㅋㅋㅋ 아 자야되는데 잠 안온다 -_- 언제 얼굴 한번 봐야될터인데...
디버거랑 결별하려면 코드를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겠죠. 사실 디버깅에 익숙해지면 논리적으로 짜기 전에 '디버거 있으니까 이리해보고 안되면 저리해보지 뭐...' 라고 생각해버릴때가 많은 것 같아요. 그걸 이겨내야겠죠.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아참... 마지막 사수의 말의 의미를 잘 모르겠는데... crash report 의 의미인가요? logging 의 의미인가요? 아니면 둘 다이거나 둘 다 아닌가요?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Wii로 즐기는 말랑말랑 두뇌 트레이닝
며칠 전 사내 기획자분으로부터 중고 nintendo wii를 구매했습니다. 포장 뜯고 바로 말랑그램을 측정해보며 플레이 영상을 찍어봤는데요. '포장뜯고 처음 해본 것' 이라는 것을 꼭 염두해서 감상해주세요
미투 구글리더를 소개합니다.
미투 구글리더를 소개합니다. 미투 구글리더는, 구글리더에서 마음에 드는 피드를 공유했을 때 이를 미투데이에 포스팅해주는 매쉬업입니다. 물론 노트와 함께 공유했을 경우 노트 내용이 함께 포스팅 되어 딱딱하지 않은
스케치
Flex 온라인 코딩 훈련 프로그램의 샘플 mxml 코드에 쓰인 제 사진을 찬중이가 그려줬습니다. 그림 잘 그리는 사람들 신기하고 부러워요. 그림 그려준 찬중이에게 감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