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t Beck이 쓴 Implementation Patterns을 보다가
Cost(total) = Cost(develop) + Cost(maintain)
Cost(maintain) = Cost(understand) + Cost(change) + Cost(test) + Cost(deploy)
마이크로 레벨로 생각해보게 됐다. 나는 initial development 주기에 change, test, deploy는 꽤 신경쓰는 편이지만, understand는 신경쓰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왜냐하면 코드를 작성하는 시점에서는 모조리 이해하고 있으니까.
Learning what the current code does is the expensive part. (Location 627 [Kindle location])
일단 이해를 하면 (여기에 코딩하던 순간의 context를 머리속에 로드하는 것까지 합쳐서) 고치고 고친 것을 테스트하고 (테스트도 딱히 신경쓰는 것은 아니지만) 배포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하지만 understand context는 선행조건일 뿐이고.
내 코드를 보며 이해하는데 시간을 많이 쏟은 사람들에게 이 자리를 빌어 사과의 메시지를.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공개된 MR 파일과 함께 부른 이적의 다행이다
지난주 가수 이적씨가 공개한 '다행이다'의 MR을 일주일간 듣다가 MR 반주에 맞춰 노래 부르며 동영상을 찍어봤습니다. 저와 노래방을 함께 가보신 분들이라면 모를까. 제가 상당히 느끼면서 (7) 부르는
공일오비 7집 나왔다
Lucky 7 10년만의 새앨범이다. 정말 좋다. 오늘 삘꼽힌 노래는 공일오비 7집의 '모르는 게 많았어요' 다. 아아 피아노 반주 좋고.. 악보바다에 얼른 악보신청 넣었고, 태진노래방 곡신청도
PT 60회 완주와 의지력, 그리고 습관 만들기
햇살 가득한 토요일 오후, 서울숲 카우앤독에서 다이제스트를 써본다. 작년 10월부터 시작한 PT 60회가 드디어 끝나간다. Phase 1 30회는 기초 체력 만들기에 집중했고, Phase 2 30회는 근육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