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 가득한 토요일 오후, 서울숲 카우앤독에서 다이제스트를 써본다.
작년 10월부터 시작한 PT 60회가 드디어 끝나간다. Phase 1 30회는 기초 체력 만들기에 집중했고, Phase 2 30회는 근육량 늘리기에 집중했다. 트레이너가 계획한 Phase 3은 근육 선명도를 높여 조각 같은 근육을 만드는 거라고 한다. 난 그런 거 절대 필요 없어서, PT는 5월부로 끝이야. ❤
이제 트레이너의 의지력을 빌릴 수 없으니, 스스로의 의지력에 의존해서 운동을 해야 한다. 의지력은 제한된 자원이다. 의지력을 아끼려면 그 일을 꾸준히 해서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 습관이 된 일을 하는 데는 의지력이 필요 없다. 하지만 성장에는 고통이 필요하고, 그 고통을 일부러 느끼는 데는 의지력이 필요하다. 고통받는 게 습관으로 자리 잡는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멀티비타민 같은 건 사서 끝까지 다 먹어본 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3개월 전에 산 80일치가 86일 만에 다 떨어졌다. 2월경부터 먹기 시작한 rhodiola rosea도 매일 1~2개씩 먹고 있고, 6월쯤이면 2통을 다 먹게 된다. 먹는 데 30초도 안 걸리는 일이지만, 왠지 기분이 좋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5년뒤에 뭐 먹고 살까
한살 한살 나이를 먹어가도 지금보다 더 큰 의지없이도 현재 사고패턴으로 노쇠하지 않을 '자신'은 있지만 지금보다 더 큰 의지나 변화가 없이는 발전하지 못하고 결국 5년뒤에는 이상한 모습이 되어 있지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면
한번에 하나의 프로젝트에만 관심을 쏟아야 한다. 한번에 하나씩만 해야 한다. 이런면에서 Mark Forster 할아버지의 Auto-focus는 참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Auto focus에서 경고하듯이,
적당한 선에서 끊기가 어렵다
올해 내내 일에만 파묻혀 살다가 오랜만에 개인 프로젝트를 했다. 맥에서 쓸 GUI 만들려니 역시 Swing만큼 익숙한 게 없어서 오억 년 만에 자바를 쓰는데, J2SE에 있는 클래스나 메서드는 다 기억나서 편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