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테스트부터가 지옥의 시작이었다. 모레 오픈인데 오늘에서야 주요 항목들 테스트를 마쳤다. 테스트 환경이 너무 불편했다. 여기 원래 있던 개발자들은 이전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이렇게 일하실 텐데 정말 대단한 멘탈인 것 같다. 그런데 막상 보면 그분들은 별 자각이 없는 것 같은데 이건 큰 회사여서 그런 거 같다. 프로세스가 잘 되어있으면 특정 이슈에 대해 혼자 깊게 생각하지 않게 되는 것 같다. 어렸을 때 공부에 관심은 없지만 아주 열심히 한 사람들이 이런 거 잘하는 것 같다. 작업 환경이 아무리 개똥같아도 그걸 이겨내서 큰 무리 없이 일을 처리해나가며 스트레스 별로 안 받는 능력이랄까.
나는 손톱이 조금만 길어져도 타이핑에 지장이 생기고 피아노도 안 쳐지고 관련하여 모든 생산성이 떨어진다. 지속적으로 자극을 공급받지 않으면 두뇌 활동이 멈춰버리기 때문에 타이핑도 더 빨리 쳐야 하고 머리에 떠오른 것이 사라지기 전에 뽑아내야만 한다. 그러려면 모든 단계에서 레이턴시가 낮아야 한다. 잠깐이라도 흐름이 끊기면 다른 생각이 들어와 내 주의를 빼앗아 갈 것이다. 응답속도가 빠르더라도 자극적인 생각이 주위를 맴돌고 있으면 안 된다. 걱정이나 불안이 있으면 메인 작업의 레이턴시가 낮더라도 흐름이 끊길 수 있다. 걱정이나 불안은 미래에 대한 것이니 사건을 현재 시점으로 끌어와야 한다.
내가 저녀석에게 "똥개야"라고 말했을 때 나를 때릴지 아닐지 확인하려면 그렇게 말해보는 게 제일 좋다. 저녀석을 오랫동안 관찰한 경험으로 미루어볼 때.. 하면서 썰 신나게 풀어봐야 새로운 환상만 생길 뿐이다. 그런데 똥개야 하고 한 번 말하려면 프로세스 3-4개 타야 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몇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면, 그 과정에 질려 환상 기반 썰을 풀게 되고 3음절짜리 똥개야는 모두의 마음속에서 값비싼 어떤 것으로 자리 잡게 될 거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입사 7주차, 내가 이렇게 열심히 살다니
입사 7주차에 써보는 회사생활 리뷰. 무례하게 푸시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개발자 특유의 자긍심을 서로 자극해가며 선순환을 이루어 일을 열심히 하고 있다. 환경과 관계가 개개인을 자극하여 자연스레 이뤄진 것인데
습관들과의 전쟁
상대방에게 '머리가 좋다'고 평가할 때의 심리를 분석해본다. 기저핵의 활동이 훌륭한 타인을 볼 때는 깎아내리려하기보다는 경탄하며 칭찬하는 경향이 있다. 사실은 조금도 부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성능이 좋은
치과에 다녀올 시간
최근들어 2주정도 치아관리를 소홀히 했더니 멜라닌이 얇아진 기분이 들고 잇몸도 다소 약해진 기분이 들던 찰나. 치과에서 편지가 왔다. "이번달이 귀하의 정기검진 시기입니다. 전화로 예약하신 후 내원하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