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7주차에 써보는 회사생활 리뷰. 무례하게 푸시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개발자 특유의 자긍심을 서로 자극해가며 선순환을 이루어 일을 열심히 하고 있다. 환경과 관계가 개개인을 자극하여 자연스레 이뤄진 것인데 각 개인에 있어서는 내적 동기가 충만한 상태에서 일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업무가 재미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럴수록 더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며 칼퇴근을 꼬박꼬박 하고 있고 업무 시간에도 가능한 한 옥상에 자주 올라가 바깥 공기를 쐬려 노력한다.
나는 Play Framework도 싫어하고 Spring Framework도 싫어하고 ORM도 싫어하는데 Play+Ebean 공부하며 서버를 만들어 데모를 하고 지난 며칠간은 다음 이터레이션에서의 쉬운 개발자 충원을 고려해 그간 만든 걸 Spring-Boot+Hibernate로 포팅하며 삽질하기도 했다. 그리고 팀내 UI 전문 개발자가 없는 탓에 작년 초에 Angular 1.x 좀 만져봤던 기억을 살려 UI를 Angular 4로 만들자고 하며 시작했었는데 내가 마지막으로 회사 돈 받으며 웹 프론트 건드린 게 10년도 넘었다는 사실에 힘들었고 Angular 1과 2(4)는 은근 다르다는 사실에 또 힘들었다. 그와중에 협업하는 쪽의 코드는 스칼라인데 뭐 내가 졸라 근사한 코드 만들며 자뻑할 건 아니라 그놈이 그놈이긴 했지만 부담이 됐다.
그래도 그동안 술은 마셔야 했으며 코인노래방도 가야 했고 하루에 만이천 보 이상은 꼭 걸어야 했고 john이랑 아이폰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도 쉴 수 없었고 좋아하는 친구들은 봐야 했고 여행도 가야 했고 다이어트도 해야 했고 독일어와 스페인어 공부도 해야 했다.
내가 이렇게 열심히 살다니 분하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분열성 성격과 자기 객관화의 신비한 경험
분열성 성격이 올라오면 일시적으로 자기 객관화가 잘 되어, 팔이 안으로 굽지 않는 신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잠깐 객관화가 되고 보니 내가 정말 못된 사람이었다. 객관화하여 바라보는 자아는 실제 나에 비해
버그 두려워하면 개발자 하지 마라
프로그래머에게 버그는 아주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는데 버그를 뭔가 위험한 것이고 자기가 만들면 자신감 떨어지거나 이미지 손상이 생기는 그런 거라고 생각하는 개발자들을 보면 정말 신기할 정도다. 그냥 다른 직업을
탐욕스러운 설계자 이야기
어느 나라에 설계자가 한 명 살고 있었다. 그는 대단히 탐욕스러웠다. 그는 따로 시간을 쪼개어 설계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래서 고객과 요구사항 미팅을 할 때 머리속에서 바로 바로 설계하기를 즐겼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