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월 28일경 내 사이트를 다음 웹인사이드에 등록했다. 벌써 웹인사이드 스크립트를 붙여놓은지가 1달이 되어 간다.
1월 1일부터 1월 20일까지의 통계 중 페이지뷰, 방문자 수와 유입검색엔진이다. 단연 구글을 통한 유입이 많다 -ㅅ- 캡춰한 그림 내용 말고도 '유입방법' 이란 부분이 있는데, 검색엔진이나 기타 사이트를 통한 것은 26.6%이고 Direct로 들어온 것이 73.4% 이다. 주소가 짧아서 외우기 쉬웠을까? 바로 들어온 것 아니면 rss 리더를 통해 '직접' 들어온 게 아닌가 싶다.
한번도 이런 통계서비스를 받아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모든게 다 신기하기만 하다. 리퍼러를 통해 누가 어떤 경로를 통해 내 사이트에 들어왔는지도 알아볼 수 있어 좋다. 어떻게 왔는지 궁금해서 역추적하여 그 사이트 놀러가기도 재미있고 말이다 ㅎㅎ
Comments
4 thoughts shared
성수
저도 이 서비스 가입해 봤어요. 기능도 많고 깔끔해서 좋네요. 관리자 IP는 통계에서 뺄 수 있게 해달라고 제안을 보냈는데 하루 만에 안된다는 답장이 와서 아쉽긴 해요.
rath
그렇군용.. 전 "남에게 요청하는 능력"이 부족한 편이라 웹서버에다 제 아이피면 daum_inside 스크립트 넣지 않도록 해서 쓰고 있어요 -_-;
성수
엇 답장 보고 그렇게 하고 있다는... 한 일주일 지나니, 이제 그래프가 모양을 갖추는것 같네요. :)
rath
웹인사이드 재밌어요 ㅎㅎ 저도 제 기록빼고 보니까 그래프가 평평~한게 아주 보기 좋더라구요 ㅎㅎ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애욕전선 이상없다 - 명대사
꽃피는 봄이 오니 메가톤급 외로움이 텍사스 소떼처럼 밀려오는 구나 가뭄에 콩같은 꽃미남 눈높이가 해발 8000미터시군요. 오밤중에 끓는물 마시고 벽치는 소리요. 편견은 낼롬 버려요 여기서 요것들이 사랑의
기억을 깊게 남기는 방법과 익숙함의 함정
무언가를 기억 속 깊이 남기고 싶다면, 그 일에 의식적으로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활동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고통을 감수하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빠르게 흐르고, 기억이 점점 희미해지는 이유는 삶이
날로 먹는 기분으로 일하는 방법
Zen Habits 의 How to make Work Feel Effortless 를 번역해본다. 생산성 2.0 때보다 번역 품질이 떨어진 기분이다. 흑. 목차 자연스럽게 리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