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Reader로 Google Read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약보기 말고 목록보기를 사용하는데 '세부 정보 표시하기|숨기기' 기능을 종종 씁니다. 세부 정보에서는 주간 게시물 수, 구독자 수, 최근 업데이트 시간만을 제공하는데 딱히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구독자수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습관적으로 눌러보는 편입니다.
오늘 눌러보니 기존 정보 외에 새로운 그래프가 추가 되어있네요! ![]()
위 스크린샷 처럼, 최근 1달간 해당 사이트(구독 항목)에서 발생된 피드의 수와 내가 읽은 피드의 수를 그래프로 제공합니다.
제 경우 PDA에서도 rss를 읽기 때문에, 실제로는 읽었지만 Google Reader 에서는 읽지 않고 읽음으로 표시하고 넘어가는 케이스가 있긴 한데 뭐 큰 차이는 아니니 넘어갈만 하네요. (선호도에 따라 괜찮은 피드는 두번 세번 읽기도 합니다)
최근 1달간의 통계를 보여주니 읽지 않은 피드가 너무 많아 괴로우신 분들에게 구독 취소의 근거 자료로 쓰일 수 있을 듯 합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한눈에 식별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analytics 나 feed burner 그래프처럼 선으로 표시해줬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개발에 대한 귀인
요새 개발 관련 포스팅이 잦은 편입니다. (7)발이 아니라 Development! 문득 왜 개발에 다시 의욕이 생겼나 역추적을 해보았습니다. 2004년에 사업한다 찌질거리면서 에너지는 에너지대로 소진하고 제대로
미신의 올바른 사용법
명리학 점성술 현공풍수 헤르메스학 공부를 느리지만 꾸준히 하고 있다. 초반에는 남들 꺼 무료로 봐주며 샘플 데이터를 쌓고 이후 새 지식을 얻을 때마다 기존 데이터로 회귀테스트하며 공부하는 재미가
cat
오늘부터 합숙하게된 엘레강스한 망초를 소개합니다. 이 글은 rath님의 2008년 9월 10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Comments 서문교 2008-09-11T01:22:53.000Z 우왕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