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집중을 잘하려면 무엇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완전히 사라져야 한다. 그래서 이런 프로세스가 생겼다. 타인 S가 나에게 T를 해달라고 한다. 처음에는 해주고 싶다. 운 좋게 바로 시작하면 금방 끝난다. 하지만 만약 어떤 이유들(천재지변, 더 중요한 일, 데이트, 식욕, 근거 없는 피로감 등)로 인해 우선순위가 밀렸다면, 이제 해주고 싶은 것이 아니라 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변질된다. 일을 처리할 강력한 동기를 잃고 조금씩 미루기 시작하여, 압박이 강해지거나 죄의식이 높아지는 등 쓸데없이 시간이 낭비된다. 최후의 순간이 오면 압박감을 없애기 위해 '이거 안 할 거야!' 하고 선언하여 S가 저항을 받아들이고 포기한다. 압박감이 사라지고 T가 바로 처리된다.
불필요한 의무감과 죄의식에서 벗어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S가 시도하는 대부분의 전략은 일을 악화시킬 뿐이다. 그리고 시간은 나와 상대에게 똑같이 매우 중요한 자원이니, 이를 절약하기 위해 압박감이나 죄의식이 생겼다면 지체하지 말고 바로 "이거 안 할 거야!" 하여 프로세스를 최적화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만들어진 원인을 분석해보면, 작업 대기 큐의 오염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프로세스를 유지하며 국지적 최적화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겠지만, 대기 큐의 오염도만 해결하면 이런 프로세스 없이도 집중력에 대한 통제권한을 온전히 자신이 획득할 수 있다. 무식하게 "압박감 속에서도 집중해서 일 잘하기"와 같은 쓸데없는 스킬을 학습하며 인생을 낭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입사 7주차, 내가 이렇게 열심히 살다니
입사 7주차에 써보는 회사생활 리뷰. 무례하게 푸시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개발자 특유의 자긍심을 서로 자극해가며 선순환을 이루어 일을 열심히 하고 있다. 환경과 관계가 개개인을 자극하여 자연스레 이뤄진 것인데
J2EE Servlet/JSP로 OpenID 지원 사이트 만들기
지난주부터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팀을 옮겼습니다. 인프라팀에서 웹서비스 팀으로요! 울 아들 봄공책 군에게 MSN, 네이트온, Google Talk 인터페이스를 열심히 붙여주고 유지보수를 한 뒤, 이번주부터는
미투데이에서 결혼한 이야기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2008년 1월 미투데이에서 한 여성회원을 알게 되었고, 눈이 맞아 2008년 4월에 결혼을 했습니다. 만난지 1개월만에 결혼을 결심한 것이지요. 만난지 1개월이면 사고쳤는지 안쳤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