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에도 미숙한 사람들은 무수히 많았지만 눈치 주고받으며 대단히 한국스럽게 균형을 맞추며 살아왔던 것 같다. 그때와 지금에 다른 점이 있다면 마케팅의 고도화로 미숙한 사람들이 본인의 부족함을 인식하기 어려워졌고 각종 미디어의 발달로 본인과 비슷한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쉽게 당당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대단히 민주적인 변화라 볼 수 있지만 너무 급하게 변화한 바람에 사회 구성원들끼리 서로 멀어졌다. 이전 방식에 익숙한 사람은 세상 말세 같고 외로움을 느낄지 모르지만 이러한 추세가 조금 더 가속화되면 좋겠다. 적절한 교육의 부재로 생긴 부작용이지만 우리나라 사람들만큼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나라도 없는 것 같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미투데이 이펙트
Direct 유입이 아직도 많긴 하지만, 지난 한 주 다음웹인사이드가 분석해준 유입경로는 아주 볼만. 미투데이 이펙트가 슬래시닷 이펙트처럼 되는 날이 올까?
Read more
DeFi와 자아성찰
DeFi 개인 프로젝트를 계속 하다 깨달은 것들. 프로그래밍이 잘 안 되는 날 같은 건 없었다. 그냥 걔네들 일 해주기 싫은 날이었던 거다. 남의 일 안 하려고 외주 시급을 높게 받는데 돈 있는 고객들이 계속
Read more
진행상황을 명확하게 말할 수 없다면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명확하게 말할 수 없다면 설계를 안했거나 설계를 개판으로 했거나 설계하면서 코딩하고 있거나 거짓말 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 진행상황을 명확하게 (진실을 담아) 얘기했으나, 나중에 틀어지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