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 얼탱이 없는 점 하나. 가스비와 이더가 함께 치솟아서 내 코드 한 번 배포할 때마다 50만 원이 든다는 거다. 함수 하나 살짝 고쳐도 50만 원 태우고 다시 배포해야 해서 빠른 첫 릴리즈나 잦은 이터레이션은 파산을 초래한다. 개발자 생활을 시작한 이래 내가 테스트를 이렇게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가상화폐라 좀 릴렉스한 느낌이 있을 줄 알았는데 실상은 모든 작은 행동에도 큰 책임(가스비)이 따르는 곳이었다. 코드 돌다가 에러 나서 트랜잭션 롤백되도 돌았던 부분까지는 가스비가 발생하니 버그도 만들면 안 된다.
며칠 L2 옵티미즘 거래하다가 L1으로 철수 중이라 7일간 자금이 묶여서 소액(천만 원 미만)으로 뭐 테스트하는데 가스비 30만 원 썼다. 만 원어치 배달 음식 시키면서 배달비 3천 원 내려면 얼탱이 없었는데 요새는 너무 싼 거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아 진짜 하면 할수록 얼탱이 없는데 그만두지는 못하겠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바이브 코딩을 무시하는 시니어들에게
요새 보면 일부 시니어 개발자들이 바이브 코딩 무시하는 모습이 보일 때가 있다. 98년 Visual Studio 6.0 처음 나왔을 때 Win32 API로 Hello World 클릭 몇 번만으로 만들어주는 거
EA 3주차, 순항 중인 새로운 시작
EA 일을 시작한 지 만 3주가 지났다. 업무도 매우 명확한 편이고 내 일과 관계없는 분들과 엮일 일도 없어서 기분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없이 순항 중이다. 게다가 익숙한 기술 스택이 없어 지루함도 없다. 이렇게
입사 3주차, 자아 성찰
입사 3주를 채웠다. 3주 동안 학습한 게 정말 많다. 평소에 쳐다도 안 보던 많은 기술 스택과 새로운 개념들을 커버하고 있고, 서로 비슷한 점이라고는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사람들을 관찰하면서 평소에는 가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