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letRequest.getContentLength() always returns -1 on Resin
Resin 3.2의 getContentLength() 버그 Resin 3.2.x를 mod\_caucho 뒤에서 사용시 ServletResponse.getContentLength() 가 항상 -1를 리턴한다. 올초에 버그 리포팅 되어 고쳐졌고 4.0 브랜치에
89 posts tagged with "technology"
Resin 3.2의 getContentLength() 버그 Resin 3.2.x를 mod\_caucho 뒤에서 사용시 ServletResponse.getContentLength() 가 항상 -1를 리턴한다. 올초에 버그 리포팅 되어 고쳐졌고 4.0 브랜치에
Flash나 Flex를 프론트 엔드로 쓰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Red5를 사용해볼 것을 추천한다. Red5는 FMS(Flash Media Server)의 자바 구현체이며 오픈소스이다. 많은 사람들이 red5를 오디오나 비디오를 스트리밍할 용도로 많이
믿거나 말거나, 사람들은 자기가 어떤 일을 하게 된 이유를 그 일을 하고난 후에서야 알 수 있다고 한다. 일을 마친 후에는 전후 사정을 고려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가 쉽다. 그래서 '나 이거 공부해봐야지!' 하는 어떠한 포스팅이나 announce 없이 JavaFX를
공부 중이라 많은 코멘트는 없고, 간단히 소식만 전합니다. Qt 4.5 가 드디어 릴리즈 되었습니다. RC 버전 다운로드는 벌써부터 사용가능했지만, 릴리즈가 가지는 의미가 꽤 큽니다. LGPL 2.1로 풀리는 것 뿐만 아니라 Qt
최근 hx4700 에서 Spb Insight 로 RSS를 읽고 있습니다. Spb Insight 는 온라인 카달록을 제공하는데요, 한국어 피드가 없는 것이 흠이지만 요즘처럼 검색 기반 인터넷 세상에서 디렉토리를 만나니 므흣한 기분이 들어 피드들을 잘근잘근 살펴보다
iPAQ hx4700 덕분에 잘 읽지 못하고 휙휙 넘겼던 RSS feed 들을 많이 읽다보니 자연스레 관심사가 바뀌어 이 글을 보고 나도 파폭 3.1 베타 써보자.. 하고 요리조리 둘러본 후기를 남겨봅니다. 다운로드는 여기서 할 수
메신저에서 스프링노트에 글을 쓰는 MSN 봇이 한동안 잘 동작하지 않았을 겁니다. MSN의 문제라고 하기엔 제가 만든 MSN 봇 엔진이 너무 낙후되었기 때문에 -\_- (마지막으로 소스코드 손댄 것이 4년쯤 됐나) 딱히 MSN IM 네트워크 탓을 할 생각은 없고,
어느덧 1,000명이 넘었습니다. 일일 Unique User는 8명~10명 정도 됩니다. 오손도손.. 잘 커가고 있습니다. -\_- 데몬이 죽으면 바로바로 살린다..는 유지보수만 어언 2년 가까이 -.- 최근에는 어느 동네에서인가 타자봇 바람이 불었는지 범주
지난 목요일부터 5일 동안 제 홈피에 OpenID로 코멘트 달기가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현상은 금방 파악했지만, 최근 바쁜 일정에 제대로 원인파악도 못하고 있었네요. 오전에 잠시 짬을 내어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했더니, OpenID 문제도 아니고.. 정말 어이 상실한
Desktop Java Application 이 RIA 가 될 수 있도록 Chet Haase 가 열심히 준비중인 Consumer JRE 가 2008년 초에 선보인다고 합니다. Java SE 6 이 세상에 나온지도 한참 되었지만 아직도 까칠한 사용자들에게 Java로
아무도 알아채지 못할 정도의 개편을 했습니다. OpenID4Java 0.8 에서 0.9.2 로 마이그레이션 로그인 시, Simple Registration으로 nickname 요청 (optional) trust.url 과 returnTo.url 을
지난주부터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팀을 옮겼습니다. 인프라팀에서 웹서비스 팀으로요! 울 아들 봄공책 군에게 MSN, 네이트온, Google Talk 인터페이스를 열심히 붙여주고 유지보수를 한 뒤, 이번주부터는 OpenID 확산을 위해 J2EE 환경에서 OpenID
개인 위키이자, 온라인 메모장으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스프링노트를 이용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스프링노트 Java API 를 완성했습니다. 2주전 정도에 스프링노트 Java API를 만들어 스프링노트 커뮤니티 게시판에 포스트
쓰면서 내용을 만드는 글이니 경어를 피하겠습니다 내가 무엇인가를 학습할 때는 항상 역공학을 쓴다. 처음 메신저와 관련된 로봇을 만들고 싶어서 ICQ 프로토콜을 공부할때도 문서보다는 표본을 채집하고 그것으로 부터 근원지를 쫓아갔다. ICQ가 너무 하드코어여서 하다가
스프링노트 MSN 봄공책 봇의 이용자 수 입니다. 봇 한 마리당 500명의 이용자를 Allow list에 유지할 것이기 때문에, 500이란 숫자는 제게 대단히 sensitive 합니다. 전체 카운트에서 distinct 를 빼면 477. 그렇다면 8명은 MSN 계정
xrath.com 이 위치해 있는 곳은 \[케알라인 IDC]\(http://www.krline.net/' target=) 입니다. 매달 15만원 정도의 돈이 들어가고 있어요 ㄷㄷ (제 돈은 아닙니다. 이 부분은 비밀 --) 언제 서버에서 쫓겨날지 몰라서 2주에
Direct 유입이 아직도 많긴 하지만, 지난 한 주 다음웹인사이드가 분석해준 유입경로는 아주 볼만. 미투데이 이펙트가 슬래시닷 이펙트처럼 되는 날이 올까? -\_-; Comments 프리버즈 2007-03-27T06:17:47.000Z 일단
xrath.com 다음웹인사이드가 분석해준 1월 1일부터 오늘(03/19)까지의 통계입니다. 자자! 이제 뭘 더 포스팅해야 주당 1,000명을 만들 수 있을까! (집착한다 ..) 참 Adobe Apollo SDK Alpha 1 릴리즈 됐습니다. (H)
심장군으로부터 iBook을 되받고 JMSN 맥패키징을 해봤습니다. 지난번 JMSN-0.9.9b11 빌드 이후로 기능상 바뀐 점은 없으며 Mac OS X 에서 일반 Native Application 처럼 돌아가도록 icns를 간단히 만들고 메뉴바를 위에 붙게 만들고
아직 클로즈 베타인 미투데이와 5년째 잘 돌아가고 있는(중간에 한 2년 쉬긴 했어요) JMSN을 연동했습니다. nainu군을 JMSN 테스터로 영입한 후 JMSN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ㅎㅎ 이번 릴리즈의 가장 큰 변화는 <오늘의 한마디>로 불리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