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다스리고 세상과 친해지는 유쾌한 인간관계' 책에서 인상깊은 부분이라 옮겨본다.
우리는 각자 저마다의 방식으로 이기적이다. '사진이 잘 나왔다' 하는 기준은 '내가 그 사진에 얼마나 잘 나왔느냐' 에 따라 달라지며, 장모가 사위를 사랑하는 것은 사위가 사랑스러워라기보다 사위가 딸을 행복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진실로 아내를 사랑하기 때문에 아내가 사랑스러운 것이 아니라 아내가 나를 사랑하기 때문에 아내가 사랑스러운 것이다. 이를 두고 너무 이기적이라고 비난하지 마라.
자신이 이기적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정말 이기적인 사람이다. 평생 가고 싶으면 늘 주고받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받기만 하고 주지 않는 관계는 오래가지 못한다. 콩나물시루에 준 물은 바로 흘러내린다. 그래도 계속 물을 주는 것은 콩나물이 자라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받기만 하고 주지 못하는 사람에게 계속 줄 수 있을 만큼 마음이 너그러운 사람은 거의 없다. '주고받음'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생명체는 살아남지 못한다. 이것은 모든 생명체에 해당하는 진리다. '주고받음'의 관계를 형성하려면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것, 좋아하는 것, 가치를 느끼는 것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꽃과 나비가 그런 관계다. 꽃은 나비에게 꿀을 주고 나비는 자신이 앉았던 자리에 열매를 맺게 한다.
--- 나를 다스리고 세상과 친해지는 유쾌한 인간관계 p82-83 에서 발췌
위 문장들은 읽는 시점과 관점에 따라 논란의 여지가 매우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더라도 나는 저 문장들을 읽으며 그 어떤것에 이끌려 서점에서 이 책을 덥석 구입해버렸기 때문에, 그저 올린다. 이 내용이 100% 맞는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여러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문장들인것 같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일촌 신청
데스크탑 애슬론으로 바꾼지 얼마나 지났는지 기억은 잘 안난다. 아무튼 데스크탑 바꾸고 개발 페이스를 좀 많이 잡았고 Melon Player를 잘 안썼다는 것. 순수가 요청한 '봄맞이용 상큼발랄한 팝'을 찾다보니
밤새고 피곤한 상태에서
개개인의 리듬은 중요하다. 지나친 카페인과 당분은 몸을 긴장하게 만든다. 다소 시끄러운 음악은 곡이 좋아서 듣는것도 있지만, 잡생각 잡음을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극단적으로 행동한다. 스트레스를
개발자가 쓴 네이트 앱스토어 체험기
오늘 네이트와 싸이월드가 통합됐다. 관심 없다. 나는 개발자가 아니던가. 앱스토어가 오픈한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Dev.Square 개발자센터에 가서 간단한 가입절차만으로 앱스 서빙을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