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다스리고 세상과 친해지는 유쾌한 인간관계' 책에서 인상깊은 부분이라 옮겨본다.
우리는 각자 저마다의 방식으로 이기적이다. '사진이 잘 나왔다' 하는 기준은 '내가 그 사진에 얼마나 잘 나왔느냐' 에 따라 달라지며, 장모가 사위를 사랑하는 것은 사위가 사랑스러워라기보다 사위가 딸을 행복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진실로 아내를 사랑하기 때문에 아내가 사랑스러운 것이 아니라 아내가 나를 사랑하기 때문에 아내가 사랑스러운 것이다. 이를 두고 너무 이기적이라고 비난하지 마라.
자신이 이기적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정말 이기적인 사람이다. 평생 가고 싶으면 늘 주고받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받기만 하고 주지 않는 관계는 오래가지 못한다. 콩나물시루에 준 물은 바로 흘러내린다. 그래도 계속 물을 주는 것은 콩나물이 자라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받기만 하고 주지 못하는 사람에게 계속 줄 수 있을 만큼 마음이 너그러운 사람은 거의 없다. '주고받음'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생명체는 살아남지 못한다. 이것은 모든 생명체에 해당하는 진리다. '주고받음'의 관계를 형성하려면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것, 좋아하는 것, 가치를 느끼는 것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꽃과 나비가 그런 관계다. 꽃은 나비에게 꿀을 주고 나비는 자신이 앉았던 자리에 열매를 맺게 한다.
--- 나를 다스리고 세상과 친해지는 유쾌한 인간관계 p82-83 에서 발췌
위 문장들은 읽는 시점과 관점에 따라 논란의 여지가 매우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더라도 나는 저 문장들을 읽으며 그 어떤것에 이끌려 서점에서 이 책을 덥석 구입해버렸기 때문에, 그저 올린다. 이 내용이 100% 맞는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여러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문장들인것 같다.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이승환 콘서트 티켓 구입~*
오는 11월 21일 올림픽공원에서 이승환 난리 콘서트가 있습니다 -ㅁ-! 지난주 금요일 오후 8시부터 예매를 시작했습니다. 물론 오후 8시 정각부터 열심히 Refresh를 누르며 -\_-;; 예매에
코르티솔과 도파민 사이의 묵묵함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잘 될 거라고 생각하지도, 잘 안 될 거라고 생각하지도 않으면서 필요한 일을 계획하고 동기 없이 묵묵히 해보는 것을 기준 상태로 정의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기준점일 뿐이며, 반드시 이
제3회 KLDP CodeFest에 다녀오다
3회 KLDP CodeFest에 다녀왔습니다. 낯선 사람과 이야기를 못하는 병이 있어서 최소 5번은 말없이 만나야 말을 하기 시작하느라, 뭐 대화는 거의 없었습니다. orz (덕분에 열심히 코딩만했지요) 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