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가 가끔씩 날 못살게 군다. 친구들끼리는 싸우면서 친해진다고 하지 않았나. 안드로이드랑도 싸울 때마다 조금씩 친해지는 기분.
하지만 요새는 싸울 일이 그다지 생기지 않는다. 나이 먹고 어른이 되면 친구들이랑 덜 싸우잖아. 서로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을리도 없는데, 자주 싸우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마음의 문이 닫혀버렸다는 거지. 아니면 끼리끼리 놀고 있거나.
여기서 잠깐 변명. 나이가 들수록 싸우는 회수가 줄어드는 이유는 에너지가 부족해서라고 생각해. 둥글둥글해지면 에너지를 많이 안써도 되거든. 대충 대충 적응해서 살아도 살만하니까.
적응하긴 싫지만, 주도적으로 싸울만한 에너지는 없을 때. 아래와 같이 비겁하게 푸념을 한다.
횡 프로그래스바 만드는데, new ProgressBar(context, null, 0x01010078) 을 입력하게 하진 말아야지. 기본스타일이 왜 indeterminate 니. 1048576 이후로 외우게 되는 두번째 7자리 숫자가 될 작정인가. 1048576은 16진수로 바꾸면 외울건덕지도 없건만. 내가 19 78년생이였으면 모를까.
dalvik 쓰는 거 좋다 이거야. 그래도 dex 생성툴은 좀 개선해야하지 않을까? 3.06GHz core 2 duo로 클래스 160개 dx로 묶기만하는데 9초 걸리는거 이해할 수 있어. 그런데.. 클래스 파일 딱 1개 고쳤는데 다시 9초? dx 툴에 --no-optimize --no-strict --no-locals --positions=lines 넘겨봐야 5초. [fcsh](http://livedocs.adobe.com/flex/3/html/help.html?content=compilers_32.html) 같은거 하나 출시할 타이밍은 이미 지난 거 같은데..
내가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dx.jar 리버스해서 개선시키겠나.
푸념은 푸념에서 끝내야 하는 것.
다시 일하러.
Comments
2 thoughts shared
킁킁
안드로이드해요? 저 아이폰 앱 간단한 게임 만들고 있는데, 잘 되면 안드로이드로 만들어주세요~ ^,.^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발전과 자기개발에 대한 고찰
발전을 바란다면 일시적으로 자아를 버리고 의지력에만 기대어 훈련해야 한다. 시간을 쏟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없다. 주의력과 시간을 쏟는 것도 충분히 고되지만, 이것만으로는 무엇을 성취하거나 이루어내거나 돈을 벌 수
도파민 절제와 외주의 딜레마
도파민 절제를 하다 보니 외주나 남의 일 해주기가 불가능해진 것 같다. 아무리 재미없고 어처구니없는 일도 게임 요소를 넣고 도박성을 띠게 하면 주체적으로 재미있게 할 수 있고 나는 그러한 연금술에 능숙한
불의 전차
리차드 클래이더만의 앨범을 샀다. 6번 트랙이 Main theme from the film "Chariots of Fire" 다. 들어보면 누구나 알만한 노래. 어려서부터 엄청 좋아했었던 노래. 그 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