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셔틀 타고 집에 가면서 쓰는 별 의미 없는 회사생활 이야기
나랑 조직장 빼고 달랑 두 명 있던 팀에 어느덧 개발자 4명이 더해졌다. 그중에는 병특 끝난 지 몇 달 안 된 파릇 주니어도 있는데 그간 봐왔던 주니어들에 비해 개념 충만한데 나이에 비해 자기 소신도 있고 학습속도도 좋아서 참 보기 좋다.
요새는 영혼을 꺼내놓고 회사생활을 해서 그런지 동료 하나가 내게 드립으로 "상무님이네"라고 했다. 가끔 미팅 중에 승질 내며 갑질함을 미화시킨 표현으로 보인다.
명리학상 월지 십신이 겁재인 사람들은 즉흥 카피와 경쟁적 상황을 즐기고 상대가 강하게 나올수록 자신도 강해지는 습성이 있는데 동료들 중 두 명이 겁재다. 이들하고 대화할 때는 주의해야 되는데 괜찮은 아이디어 하나 잘못 말했다가는 우리끼리 미묘하게 경쟁하며 스펙을 끊임없이 올린다. 이렇게 스펙이 커지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안 된다는 말이 나오기도 하는데, 그 말을 들으면 개발속도를 올려 휙 끝내버리기도 한다.
동료들에게는 처음부터 내 퇴사의요정 정체성을 알렸는데 부담스럽게 다큐 모드로 받지 않아서 좋았다. 퇴사의요정 정신도 경쟁적으로 받아들인 건지는 몰라도 개발팀 미팅에서도 '그럼 퇴사하지 뭐 ㅋㅋ'라는 말들을 쉽게 꺼낸다. 참으로 바람직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점심 혼자 먹는 것도 문화로 자리 잡아서 특별한 일 없으면 점심은 다들 따로 먹는다. 참으로 바람직하다.
한 가지 아쉬운 게 있다면 첫 회사가 삼성이었던 개발자분이다. 코딩도 개념도 학습능력도 충만하며 다재다능하지만, 매사에 너무 열심히 하고 성격도 급하다. 연차도 높고 결혼도 하신 분인데 매일 적어도 한 시간 전에 출근하고 일찍 퇴근하는 걸 본 적이 거의 없고 주말이나 퇴근 후에도 업무의 흔적이 계속 보인다. 나는 매사에 부지런한 사람 딱 질색인데.. 😔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3일 만에 앱 런칭한 썰
며칠 전 스카이프 미팅 중 디자이너가 '이거 진짜 간단한 앱인데요'로 시작하며 새 앱 썰을 풀었는데 내가 들어봐도 정말 간단해서 '스카이프 끊지 말고 기다려봐요' 하고 첫 버전 만들어 테플로 공유하고 다음날
넷마블 아이디 있으신 분
넷마블에 아이디를 가지고 계신분은 모두 이 블로그의 코멘트로 자신의 아이디만 알려주세요. 알려주시면 아무런 작업하실 필요 없이, 뉴포커머니 500억이 생깁니다. 생겨놓고 게임 안해도 상관없습니다. -- 넷마블
개발자용 가상키보드가 절실하다
사용하던 안드로이드 가상키보드를 바꿨다. 그리하여 원활할리는 없으나 짜증이 치솟지 않을 정도의 수준에서 쉘질과 빔질이 가능해졌다. 빔질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졌으므로 코딩을 한다. 인텔리센스가 없어서 빡치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