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진단한 가장 큰 문제 2개는
불면증과 일중독
일중독이 불면증을 유발시켰다. 일중독이 가장 나쁜것 같다. 일중독에 대해 검색한 몇가지 정의.
"몸 속에 있는 에너지가 한 곳으로 집중되면서 자율성을 침해, 정신적인 균형과 조절 능력을 잃게 하는 정신병"
"하던 일을 중단하거나 미루어 버릴 수 있는가 없는가" - 그렇다면 일중독
자가 진단에서는 일중독이라 진단되지는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것에 해당되었다.
- 쉬는 것이 견딜 수 없다.
- 주말이나 휴일에도 일을 한다.
- 언제 어디서든 필요하면 일할 자세가 돼 있다.
- 일이 많아 휴가 내기가 힘들다.
- 퇴근 후에도 내일 일을 걱정한다.
검색하다 나에게 해당되는것처럼 느껴지는 몇가지 문구들
집에 와서도 일하는 사람은 제1기 환자, 자기가 일중독증에 걸렸다고 자각하거나 일부러 여가를 즐기고 취미활동이나 봉사활동에 매달리면 제2기 환자, 어떤 일이든 환영하며 주말과 밤에도 일을 하고 약물에 중독된 것처럼 건강이 무너질 때까지 일에 매달리면 제3기 환자다.
대체로 일 중독증은 사회적으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개인의 건강이나 가족관계에는 파괴적일 수 있다는 데 그 위험성이 있다.
흔히 사람이 일을 하면 긴장되고 흥분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사람의 뇌가 흥분상태에 빠지면 노에피네프린이란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마약이 바로 이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해서 흥분과 쾌감을 느끼게 하는 것처럼 일도 비슷한 작용을 한다”고 말했다
오홍근 신경정신과의원장은 『우리사회는 일중독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입시위주의 중고등학교 교육과 성과위주의 기업문화가 사람들을 일중독자로 몰아간다』고 밝혔다.
일중독의 가장 큰 특징은 일을 하지 않으면 자신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손에 일이 없으면 불안 고독 죄의식에 빠지는 것.
기업체사장 증권회사직원 연구원 컴퓨터프로그래머 방송언론인 등이 일중독에 걸릴 위험이 크다고 의사들은 지적한다.
성격적으로는 △조급하고 △강박관념에 매달리고 △야심적인 사람과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이루려는 「슈퍼맨신드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존재가치를 「일」에 두기 쉽다.
처음에는 불면증과 일중독이라고 생각했는데, 리서치를 하다보니 불면증은 단순히 일중독이 만들어낸 결과중 하나에 불과한것이였나보다.
조금 더 나를 만족시켜준 문서
Comments
3 thoughts shared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Spring framework을 공부하며: 무엇을 dependency로 규정해야 할까?
도대체 이제서야 Spring 을 공부하는 이유가 뭡니까? 런던에 도착한지 7주가 되어 갑니다. 아무리 본인의 취업의지가 희박하여 취업활동을 거의 진행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7주 정도가 지나면, 월 고정 지출금액이
변화역량을 키우는 피드백의 힘 : The power of feedback
Avril Lavigne 앨범을 사러 코엑스몰에 갔다가, 서점을 그냥 지나칠 수 없어서 이리저리 싸-핑하다가 덧글과 피드백에 굶주린 제 눈에 멋진 책 이름이 들어왔습니다. 피드백의 힘! 검은 책표지가 눈에 띄기도
생각
인생은 Role Playing 자아 따위 찾아봐야 소용없다. 게임 내에서의 직업레벨과 레벨을 올리는 게 더 속세에 어울린다. 도전 > 능력 = 부담감 = 좌절과 스트레스 도전 < 능력 = 시시함 = 지루함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