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사람 뽑는 일을 자주 하다보니 이력서 보는 일이 얼마나 지치고, 몇 장 안되는 내용으로 한 사람을 파악하고 평가한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게되었다.
그래서.. 이력서에 쓸 내용에 도움이 되고자 근 4년만에 MBTI 검사를 했다.
http://www.humanmetrics.com/cgi-win/JTypes2.asp
결과는 INTJ. 4년전에는 INTP 였다. (거기서 거기냐? )
INTJ가 어떤 성향인지 국내 사이트를 구글링하다가 발견한 것들이다.
INTJ는 모든 타입 중에서 가장 자신을 과잉으로 믿는 형으로 전체인구의 1%정도입니다. (1%의 자뻑 또라이란 말인가 -_-...) *INTJ는 보통 부정적인 비평을 피하고 긍정적으로 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말도 말이지만, 실제로 긍정적으로 느끼는 편이다) 그들은 또한 극단적인 실용주의자로 세계의 모든 것이 임의적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것들은 도구로써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무시해 버릴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런편이다)
아래는 작업환경에서의 평가 내용으로, 공감 100%인 부분만 진하게 표시했다.
II. INTJ의 작업만족
-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해결방안을 마음껏 제시할 수 있을 때
- 자신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마음껏 전개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자신에게 적절한 보상이 따라줄 때
- **자신의 기대치에 충족되는 지식과 성실함, 그리고 전문성을 갖춘 사람과 함께 일하게 될 때 **
- 자신이 최초로 제공한 아이디어에 대한 신뢰를 받고 아이디어 제공자로 인정을 받게 될 때
- 시시한 언쟁에 휘말리지 않고 자기 혼자서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을 때
- 자신이 최신의 지식과 정보 및 방법을 꾸준히 제공하는 사람으로 인정받을 때
- **일반대중의 기준에 구애됨이 없이 자신의 수준 높은 기준이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으로 인정받을 때 **
- 새로운 지식이나 아이디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세부적인 일처리에 대한 요구를 많이 받지 않을 때
- 자신의 공헌에 대한 평가가 인간관계에 치우침이 없이 가장 엄격하고 공정한 기준에 의해 평가 받을 수 있을 때 (내가 생각했을때 나의 잘못된 행동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때도 싫어하는 편)
III. INTJ가 만족하는 일이나 작업환경
- 문제를 독창적이고 창조적이며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일.
- 논리적이고 순서대로 일하면서 나의 노력이 보상받는 환경.
- 내가 존경하는 자질과 전문성과 지적능력을 가진 양심있는 사람들과 일할 수 있는 환경.
- 소수의 지적인 사람들과 가끔씩 상호작용하며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
- **사실적이고 세부사항에 집중된 과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라고 요구하지 않는 일. **
(강점)
- 체계를 창조하는데 비전이 있으며 뛰어나다.
- 창조적이며 지적인 도전을 즐긴다.
- 이론적이며 기술적인 분석과 논리적인 문제해결을 잘한다.
- 혼자서 일을 잘하며 반대 입장에서 조차도 결정을 잘 내린다.
-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를 이해할 수 있다.
(약점)
- 창조적인 문제해결이 이루어진 후에는 프로젝트에 관심을 덜 가진다. (심한편
)
- 그들이 그들 자신을 움직이는 것 만큼 다른 사람을 움직이는 것이 어렵다.
- 자신들보다 덜 경쟁적이라고 여겨지는 사람들과 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너무 독립적이어서 문화에 적응하거나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융통성 없고 고집스러울 수 있다.
T와 P가 바뀐 것 뿐인데, 4년전보다 훨씬 더 정체감을 얻었다.
Comments
15 thoughts shared
pistos
나는 INFP
rath
TJ가 나온게.. 제 분열성 성격장애와도 관련이 있는것 같아요 ㅎㅎ;
rath
catholicpusan.or.kr의 해설을 보면 INTJ, INFP 모두 인구의 1%라네요 다 1%면 도대체 나머지 98%는 어디있는건지;;;
rath
INTJ 특징 - INTJ는 보통 부정적인 비평을 피하고 긍정적으로 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거의 실수에 연연하지 않고 제도의 미래 쪽으로 더 관심을 가집니다.
rath
INTJ 특징 - INTJ타입은 감정 면에서 상처받기 쉽고 이것으로 인하여 심각한 실수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번 상처받으면 회사그만두고, 한번 상처받으면 절교하고 관계끊고.. 부지기수 -_-;;; )
bluex
나를 포함한 98%는 이런검사를 수행하지 않아요... 알면서
rath
-_-;;;;;; 그.. 그런건가요 (헉)
rath
좀 더 객관적으로 재평가를 해보았는데
이번엔 ISTP가 나오는군요. 사고 > 감각 > 직관 > 감정 이라함..
rath
2일전에 한 검사에서는 회사에서의 '나'의 행동 습관에 대한 것이였고 오늘 한 검사는 일상생활에서의 '나' 였습니다. ㅎ
rath
ISTP의 장단점을 보니 왠지 INTJ보다 훨씬 저와 맞아보이네요. INTJ와 ISTP가 수시로 변하면서.. 정신분열을 일으키는거 아닐지 -_-
rath
-ㅁ-;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영화와 프로그래밍은 기억을 지운다
나는 영화 보기와 프로그래밍을 비슷하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둘 다 한 번 시작하면 적어도 2~3시간은 다른 짓을 못하기 때문에 머리에서 굴리고 있던 것들이 부서져버린다. 그래서 시작하기를 꺼린다. 일단 시작하게
english speaking을 훈련하며
스피킹은 내가 최악의 능력을 보이는 부분이다. 한국말도 잘 못하는데 어찌 외국말을 잘하겠는가. 집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도 샌다고 했는데, 어렸을 때는 이 말에 동의할 수 없었으나 좀 커보니 이 말을 수긍할 수
철학 책을 다시 읽으며 느낀 통찰
1년 정도 철학 책을 끊었다가 다시 읽어보고 있는데, 19세기 서양 철학자들의 말이 21세기 대한민국에도 어쩜 이렇게 잘 적용되는지 이해가 안 될 정도이다. 나를 포함한 이 세상에 사는 사람들의 성향은 변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