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멀티 태스킹을 좋아한다. 왜 좋아하는지는 명확히 기술하기는 어렵다.
아무튼 자원이 낭비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서 오는 어떤 안도감을 좇는 것이 분명하다. 이것은 효율성을 좇는 것과는 또 다른 이야기이다.
큰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큰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있다는 점을 내가 인식하고 있으면, 일에 잘 집중이 안된다. 다운로드 하는 작업이 날 비트적으로 정신적으로 직접적인 방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해야 할 일에 내가 잘 집중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생각했다.
나는 자원이 낭비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즉 직접적으로 내 정신력을 소비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무엇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면, 더이상 열심히 일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느껴서 자연적으로 게을러지는 게 아닐까?
예를 들어 비지니스 관계에서, 이메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고 치자. 나는 상대방으로부터 메일을 받았고, 적절한 피드백을 담아 회신 메일을 작성한다. 그리고 회신 메일 마지막에는 상대방에게 또 다른 피드백을 요구했다. 그리고 이 메일을 발송하고 나면 상대방으로부터 회신 메일이 도착하기전까지 나는 잠시 자유로워졌다는 착각에 빠지고는 한다. 상대방이 메일 회신을 위해 일하고 있다는 것을 추측했기 때문이다. 이메일을 통한 의사소통 섹션에서는 자유로워졌을지 몰라도, 다른 일들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은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요즘 나는 페이스북 게임을 몇 개 하고 있다. 그 중 중독성이 가장 심한 것은 얼마전 Facebook Connect 버전도 출시한 Bejeweled Blitz와 Rockyou가 만든 Zoo World 이다. 비주얼드 블리츠는 게임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결코 날 괴롭히지 않는다. 대신 게임을 하는 그 1분동안 엄청난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반면, Zoo World는 많은 집중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계속 띄워놓고,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구한다. 지금 Zoo World 레벨이 20인데, 중간 사이즈의 동물 4마리를 Breed 해야하는 미션이 활성화 되어있다. 동물 한마리를 새끼치려면 동물에 따라 다르지만 현실세계의 물리적인 시간 24시간 또는 72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 시간동안에는 게임에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것과 동일한 점이 있다. 파일을 다운로드 받겠다는 의사표시는 내가 주도적으로 한 것이며, 그 이후에는 나의 노력 여하와 무관하게 몇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그 몇시간동안 나는 심리적으로 자유로워진다. 나의 주도적인 지시에 기반하여 어떤 일들이 열심히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뭔가 바쁘게 계속 하고 있다는 기분을 느낀다. 이것을 게임에 대입해서 문제지 -_- 실제 업무 환경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해를 돕기 위해 게임을 예로 들었다. 계속 바쁘게 뭔가를 하고 있다는 기분이 들면, 그것들이 내 성취욕의 많은 부분을 채워주었고 책임감도 덜어주었으므로, 다른 일에 몰두해야할 심리적 동기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 나는 엄청나게 바빠야 될랑말랑한 와중에도, 이렇게 딩가 딩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이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정신줄을 꽉 붙들어 메고 끊임없이 사고해야 한다. 일시적인 해결책으로 다운로드를 중단하고, 게임을 하지 않기로 선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살다보면 이런 일들은 부지기수로 일어나게 마련이다. 지금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 위해 이 일들을 없애버려본들 수주내로 이런 일들은 다시 생긴다. 도망치지 말고 싸워이겨내야 한다.
나폴레옹은 그가 신봉하는 전쟁의 원칙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자신은 어떤 원칙도 신봉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주어진 상황에 대해 매번 끊임없이 사고하고 무엇이 최적일지 생각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만이 이 올바른 길이다.
자, 달리자.
Comments
3 thoughts shared
elle
게임을 끊으세요.-_-
Yule
과제하다 말고 이 글을 읽다가 과제에 집중하지 않는 스스로에게 뜨끔 ;; 글 잘읽었어요~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노다메 칸타빌레를 보고
퍼키님의 추천으로 일본 드라마인 노다메 칸타빌레를 봤습니다. 노다메~ 아이고 완전 귀엽네요~ ㅎㅎ 이런 여자 어디 없나요? >.< 그나저나 노다메를 보다보니 클래식, 그 중에서도 명곡집 곡보다는 소나타
다시 시작된 Egoless Programming
나는 프로그래밍 할 때 모든 주의력과 정신을 지금 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집중하는 편이다. 내 모든 것을 걸었다는 기분에, 기능이 잘 구현되거나 버그를 잡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문제가 생겨서 계속 digging을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읽으며
. Comments rath http://xrath.com/ 2007-06-12T17:21:38.000Z 쓰고나서 다시 읽어보니 생각이 많이 정리되지는 못했네요. 노이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