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 수업을 받으며 신나게 털리고 왔다. 한국인 특유의 국소적 꼼꼼함과 지적질이 도움됐다. 나이가 많이 어려 보였는데 그 때문인지 넘치는 에너지로 막 쏘아붙이는 면이 괜찮았다. 독일인 선생님이 내가 흔한 오류 냈을 때 빵 터지면서 귀여워했다면 이 분은 기겁하면서 고쳐주는 스타일.
무엇보다 의사소통이 꼬이기 시작했을 때 한국어 대화를 통해 바로 상황을 수습할 수 있다는 점이 편했다. 소통 꼬인 상황을 해결하는 능력 향상에 도움은 안 되겠지만 이 선생님한테 그런 걸 기대할 이유는 없으니 괜찮다.
어느 정도 레벨이 올라간 뒤에 원어민 선생님을 다시 찾아야겠다. 아직은 기초가 부족해서 한국인한테 한국식으로 까이면서도 얻을 게 많은 상태다. 숨고 괜찮네. 굿.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기분 좋은 하루의 끝은 맥주로 쾅쾅!
아침에 유난히 일찍 일어났다. 오전 6시 40분 기상! 뭐하지.. 하다가 계속 피아노 치고 아침부터 어려운 곡 연습하면서 스트레스 받기 싫었는지 쉬운 곡만 열심히 치고, 익숙한 곡은 계속 치고 그러다가 땀
Stereotype
사람들이 내게 할당한 수많은 고정관념들이 있다. 그 종류도 다양하고 별의별 말도 안되는 것들이 수두룩한데, 가만히 보고 있으면 내 이야기인데도 전혀 기분나쁘지 않고 재미있고 흥미진진할 때가 참 많다. 그래서 어떠한
실용연애전서
2003년에 출간된 이 책. 읽어본 사람이 있는지 모르겠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같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마음에 들어할 지도 모르겠다. 왜 인용을 하는가에서 언급했듯이 '나 이 책 읽고 있어요.' 혹은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