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깔짝댄 지 2년이 됐다. Hot Reload에 완전히 중독됐고, 누가 저세상 요구사항을 들고 와도 별 빡침 없이 UI 샤캉샤캉 뽑아내서 기획 디자인과 사이가 좋아졌다. 괜찮은 오픈소스는 아직도 부족하고 대부분 직접 만들어야 하지만 언어에서 어떤 심오함도 안 느껴져서 개발이 수월하다. 심오함이 없어서 누군가에게는 매력이 없겠지만 심오함이 없어 이슈가 생길 틈이 없고 생산성이 높다.
이렇게 보면 플러터 막 좋은 것 같지만, 네이티브 코드 없이 쓸만한 제품 만들기는 여전히 무리라 Objective-C, Java/Kotlin 벗어날 생각은 안 하는 게 좋다. 어제는 간만에 JNI를 쓰며 진화한 Android Studio에 감탄했다. 자바 코드에 native로 선언된 메서드가 있는데 해당 시그니처가 헤더에 없으면 알아서 함수 원형 C 코드를 만들어주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 언젠가부터 Gradle이 CMake 지원을 해서 네이티브 빌드 관리가 아주 깔끔해졌다.
개발은 계속 편해지는 것 같다. 그러니까 제발 니들이 배워서 직접 했으면 좋겠어. 나는 피아노 치느라 바빠.. ![]()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이너게임
자신의 실체 즉 타고난 잠재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우리 내부의 게임 이너게임 선물받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바빠서 읽기를 미루고 있다가, 측근들의 추천으로 이리저리 읽어보았습니다. 중간중간 눈에 들어오는 부분만
습관들과의 전쟁
상대방에게 '머리가 좋다'고 평가할 때의 심리를 분석해본다. 기저핵의 활동이 훌륭한 타인을 볼 때는 깎아내리려하기보다는 경탄하며 칭찬하는 경향이 있다. 사실은 조금도 부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성능이 좋은
자급자족 개발자
언젠가부터 만든 프로그램을 외부에 노출하지 않기 시작했다. 제작년에 만들었던 Android 용 MSN 클론 때문이다. public release 는 대단히 고통스럽고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 To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