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 iRead 읽은 책 목록에 '쇼펜하우어 문장론'을 집어 넣고 있었다. 책을 읽고 포스트한 게 작년 5월이고,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나는 사상이 바뀌었으니 다시 읽을만한 가치가 있으므로 잠시 침대에 누워 책을 읽었다. 그리고 인용하고 싶은 구문을 만났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의 왕 크세르크세스는 구름 같은 대군을 바라보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100년 후에는 이들 병사 중 누구 한 사람 생존할 자가 없다는 사실에 삶의 허망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나 역시 가끔 두꺼운 도서목록을 바라보면서 울고 싶은 충동을 느끼곤 한다.
쇼펜하우어 문장론 p199
자신이 인지하고 있던 그게 아니던,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책을 읽어나가는 것은 나쁘다. 그러나 스스로 생각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니 자연스러운 회피 행동이다. 회피성 성격이 짙은 내가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므로 이해는 된다.
딜리셔스 등에 북마크 한 URL이 많고 읽은 책이 많은 사람이라면 헤로도토스의 말을 곱씹어보자.
Comments
2 thoughts shared
Continue Reading
Discover more thoughts and insights
나중이란 시간은 없다
나중이란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의 내가 이어질 뿐이다. 지금 내가 무슨 결심을 하던, 무슨 소망을 하던, 그것이 계속 이어질 뿐이다. 결심만 매번 하면 결심을 잘하게 된다. 2년전에 내가 그 일을
최고령자 민재와 11살된 나
어제 은해와 함께 11살 진입 후 민재와의 대화 민재의 나이는 이힉힉힉
솔티크래커스와 함께한 4년
오랜만에 뜬금없이 솔티크래커스 이야기 4년 전쯤 지인으로부터 한 디자이너를 소개받았다. 2014년 12월 30일, 강남 어느 카페에서 그를 처음 만났다. 앱 개발자를 찾는다며 횡설수설하는 되도 않는 소리를